• 여러분이 있기에 국립극단이 있습니다.

    1950년 창단 공연 <원술랑>을 시작으로 국민에게 기쁨과 희망을 전하는 연극을 만들고자 노력해 온 국립극단이 올해로 창단 70주년을 맞았습니다.
    창단 직후 6.25 전쟁의 발발로 인해 극장 문을 닫고 피난을 떠났던 국립극단은 올 2020년 2월, 70주년 기념 공연의 개막을 나흘 앞두고 세계를 덮친 코로나 19로 인해 다시 한 번 극장 문을 닫는 가슴 아픈 상황을 겪었습니다. 창단에서 70주년까지의 긴 세월 동안 국립극단은 그렇게 수많은 시대의 격랑을 헤쳐 왔고 그 곁에는 항상 관객 여러분과 현장 연극인들이 함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길고 지난했던 국립극단의 70년을 정리하는 일은 연극을 한다는 것의 의미와 관객의 소중함, 그리고 국립극단의 존재 이유를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국립극단이 지나온 70년이라는
    시간에는 늘 관객여러분이 함께했습니다.

    70주년을 맞아 시행한 관객 설문조사
    '국립극단에서 가장 보고 싶은 연극' 1위!

    기군상 작, 고선웅 각색·연출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7.19~7.26)

  • <화전가>

    '70주년 기념 창작신작' 으로 기획된 배삼식 작, 이성열 연출의 <화전가(花煎歌)>는
    1950년대를 배경으로 참혹한 시절을 겪은 여인들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그린 작품입니다. (8.6~8.17)

  • 관객을 만나지 못한 공연들

    70주년 기념 국립극단 대표 레퍼토리 재공연으로 기획된
    천승세 작, 심재찬 연출 <만선>과 괴테 작, 조광화 각색·연출 <파우스트 엔딩>을 비롯하여
    2020년 예정되었던 많은 공연들이 코로나 19의 발발과 명동예술극장 화재 등 잇따른 악재로 관객을 만나지 못하고 잠정 연기되었습니다.

  •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전시 《연극의 얼굴》

    《연극의 얼굴》은 국립극단 창단 70주년을 맞아, 한국 연극의 시작부터 현재까지를 대표하고 있는 국립극단의 시간을 기념하는 전시(총감독 : 여신동)로 명동예술극장에서 진행되었습니다.

    1부 사진전시 <연극의 얼굴>, 2부 아카이브 전시 <연극의 시간>, 3부 퍼포먼스 <연극의 연극>

  •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2020년 국립극단 창단 70주년 기념사업으로
    국립극단의 창립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정리하고
    시대별 논점과 향후 발전방향을 담은
    『국립극단 70+ 아카이빙』을 출간합니다.

  •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국립극단 70+ 아카이빙
    70 Years of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
    1950 → 2019→
    + ARCHIVING


    ㆍ 발간 © 재단법인 국립극단
    ㆍ 발간인 © 이성열 [국립극단 예술 감독]
    ㆍ 기획 © 국립극단 70 편찬위원회+국립극단 작품개발실+수류산방
    ㆍ기획 및 집필 © 국립극단 70 편찬위원회 [김미도위원장, 김방옥, 이진아, 노이정, 김숙현, 김옥란, 허순자, 김유미]
    ㆍ 아카이빙 및 편집・디자인・촬영・출판 © 수류산방 프로듀싱 [박상일, 심세중]
    ㆍ 1차 작업 [박상일, 심세중, 장한별, 조연하, 김민진, 김나영, 최지수, 이수경, 이화승]
    ㆍ 2・3차 작업 [김나영[책임 정리 및 구성], 심세중, 전윤혜, 김도영・손효지[조성룡도시건축], 이지응, 박상일 ]
    ㆍ 사진 촬영 [이지응][0024・0063쪽 사진은 박상일 ]
    ㆍ 자료 정리 [조연하] ㆍ 영문 번역 [문가용]
    ㆍ 진행 © 국립극단 작품개발실 [정명주, 한나래, 지영림, 박으뜸, 이지연]
    ㆍ 연도별 개요 1차 정리 [정주영, 유혜영]
    ㆍ 자문 [전세권, 정상철][자료 사진 인물 확인]

    ㆍ 재단법인 국립극단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04302]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3
    www.ntc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