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맥
김영수(작가)
한국희곡
1948-06-25
- 유형
- 원작
- 영문 표기
- Blood Relationship
- 한자 표기
- 血脈
- 언어
- 한국어
- 발표일
- 1948-06-25
- 한국 초연명
- 혈맥
- 초연시작일
- 1948-06-25
- 초연단체
- 신청년
- 초연장소
- 중앙극장
- 장르
- 한국희곡
- 학술저널
- 전지니, 「김영수 작「혈맥」의 변주양상 연구 - 영화 「혈맥」(1963)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 2013년, 153~184쪽
- 학술저널
- 송효정, 「해방기 감성 정치와 폭력 재현 - 해방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공간 미디어와 백색테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7, 2012년, 321~343쪽
- 학술저널
- 장혜전, 「해방 공간의 희곡 연구 : 김영수의 〈혈맥〉을 중심으로」, 『畿甸語文學(기전어문학)』 14-15, 2003년, 203~221쪽
- 학술저널
- 이석만, 「김영수 희곡에 나타난 대중성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6, 1996년, 185~208쪽
- 학술저널
- 이명수, 「김영수(金永壽)의 희곡(戱曲) ‘혈맥(血脈)’에 대한 공간연구(空間硏究)」, 『인문학연구』 25, 1995년, 101~122쪽
- 학술저널
- 이미향, 「김영수의 해방기 소설 연구-혈맥, 행렬, 황혼」, 『원우논총』 13, 1995년, 173~194쪽
- 학위논문
- 김경희, 「김영수 희곡의 확산적 구성 연구 : 단층과 혈맥을 중심으로」 , 2001년
- 학위논문
- 김선정, 「金永壽(김영수) 戱曲(희곡) 硏究(연구)」 , 1995년
- 학위논문
- 김정수, 「해방기의 희곡 연구」 , 1995년
- 학위논문
- 안숙현, 「韓國(한국) 近代劇(근대극)에 미친 러시아文學(문학)과 演劇(연극)의 影響(영향)에 관한 硏究(연구) : 19C 러시아 文學(문학)과 演劇(연극)의 受容(수용)을 中心(중심)으로」 , 199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