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명동)
- 다른 이름
-
- 유형
-
프로시니엄
- 설립일/시작일
-
1962-03-21
- 폐관일/종료일
-
1975-12
- 주소
-
서울 중구 명동1가 명동길 35
- 객석규모
-
820석
- 주요이력
-
-
1936.10
메이지좌 영화관으로 최초설립(1,178명 수용가능)
-
해방후 국제극장으로 개칭
-
1947~
서울시가 접수. 시공관으로 개칭하고 연극과 집회 등을 개최
-
1957.06.01
서울시와 국립극장이 공동 사용하기로 결정
-
1961.11.07
시민회관 개관으로 인해 기존 시공관을 국립극장이 전용하는 것으로 결정. 이후 객석, 무대, 난방시설, 화장실, 로비 등 전면 개수
-
1962.03.21
국립극장(명동)으로 재개관(820석)
-
1973.08
국립극장이 장충동으로 이전하고, 예술극장으로 존속
-
1975.11
민간(대한투자금융)에 매각
-
2002
명동 옛 국립극장 되살리기 추진위원회 발족
-
2004
극장 부지 매입 후 건물 리모델링 계획 수립
-
2009.06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명동예술극장으로 개관(558석)
-
2015.04~
(재)국립극단이 승계하여 전용극장으로 사용
-
인종자의 손(1973, 서울)
-
송학정(1972, 서울)
-
꽃상여(1972.11, 서울)
-
꽃상여(1972.08, 서울)
-
포로들(1972, 서울)
-
환상여행(1972, 서울)
-
달집(1971, 대구)
-
달집(1971, 서울)
-
신라인(1971, 서울)
-
인조인간(1970, 서울)
-
손달씨의 하루(1970, 서울)
-
원술랑(1970, 서울)
-
인종자의 손(1970, 서울)
-
한산섬 달 밝은 밤에(1969, 서울)
-
환상살인(1969, 서울)
-
여왕과 기승(1969, 서울)
-
동트는 새벽에 서다(1968, 서울)
-
환절기(1968, 서울)
-
북간도(1968, 서울)
-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1967, 서울)
-
사계절의 사나이(1967, 서울)
-
밤과 같이 높은 벽(1967, 서울)
-
세자매(1967, 서울)
-
그 길고 지루한 여름(1966, 서울)
-
이민선(1966, 서울)
-
가족회의(1966, 서울)
-
이순신(1966, 서울)
-
수선화(1965, 서울)
-
바꼬지(1965, 서울)
-
울어도 부끄럽지 않다(1965, 서울)
-
여성만세(1965, 서울)
-
순교자(1964, 서울)
-
만선(1964, 서울)
-
베니스의 상인(1964, 서울)
-
욕망(1964, 서울)
-
공개연습/욕망(1964, 서울)
-
결혼중매(1963, 서울)
-
해풍(1963, 서울)
-
푸른 명맥(1963, 서울)
-
세인트 죤(1963, 서울)
-
아리나의 승천(1963, 서울)
-
산불(1962, 서울)
-
침종(1962, 서울)
-
고독은 외롭지 않은 것(1962, 서울)
-
동물원 가족(1962, 서울)
-
젊음의 찬가(1962, 서울)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