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국립극단 소극장 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영문표기
CREATIVE SPACE PAN
유형
블랙박스
설립일/시작일
2010-12
폐관일/종료일
2023-06-11
주소
서울 용산구 청파로 373
무대면적
10mX3.7mX13m
객석규모
100석
주요이력
  • 1950.04 국립극장 개관(신협·극협 전속단체로 활동)
  • 1957.06 국립극장 전속 국립극단 설립 (신협단원 흡수)
  • 1959.03 국립극단 해산
  • 1959.05 국립극장 내 신극과 민극 두 개 전속극단 설치
  • 1962.01 국립극장 직속의 국립극단 발족 (신협과 민극이 국립극단으로 재발족)
  • 1973.08 국립극장으로 이전 (명동→남산)
  • 2010.07 재단법인 국립극단 출범
  • 2010.12 서계동 문화공간 개관 (백성희장민호극장, 소극장 판)
  • 2015.04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 통합
비고
가변 가능하여 다양한 장르의 공연 가능(가변형 객석)
영지(2023, 서울)
어린이청소년극 100년의 시작과 현재(2023, 서울)
자전거도둑 헬멧을 쓴 소년(2019, 서울)
까마귀의 눈(2019, 서울)
평범한 가족(2019, 서울)
조니와 라디오(2019, 서울)
다 다른 길. 목.에서(2019, 서울)
송파의 경이-노부인의 방문 3막에 대한 '더늠'(2019, 서울)
영지(2019, 서울)
궁립공단_무아실업(2019, 서울)
제르미날(2019, 서울)
노동가: 역사와 실재, 혹은 그 하염없는 실천을 향하여(2019, 서울)
메이데이(2019, 서울)
오보(2019, 서울)
발화(2019, 서울)
배종옥, 부득이한(2018, 서울)
헤어드라이어(2018, 서울)
병목안(2018, 서울)
여름방학(2018, 서울)
G의영역(2018, 서울)
손님들(2018, 서울)
2센치 낮은 계단(2018, 서울)
사물함(2018, 서울)
얼굴도둑(2017, 서울)
하시마;행간의 사람들(2017, 서울)
결혼(2017, 서울)
팔렘방의 이방인(2017, 서울)
중국식옷장(2017, 서울)
드림텔(2017, 서울)
볼리비아 아줌마에게 물어보세요(2017, 서울)
열애(2017, 서울)
조선배우학교(2017, 서울)
해태(2017, 서울)
봉천동 카우보이(2017, 서울)
장난감병동(2017, 서울)
사물함(2017, 서울)
나는 살인자입니다(2017, 서울)
좋아하고있어(2017, 서울)
어느날 그는 까치 한마리를 보았는데(2017, 서울)
소녀들;열일곱, 열여덟, 열아홉(2017, 서울)
벌레가 된 소년(2017, 서울)
널 위한 날 위한 너(2017, 서울)
이건 로맨스가 아니야(2017, 서울)
누수공사(2017, 서울)
드림타임(2017, 서울)
광주리를 이고 나가시네요, 또(2017, 서울)
열다섯(2016, 서울)
아는사이(2016, 서울)
타조소년들(2016, 서울)
그렇다고 나를 다 아신건 아니랍니다(2016, 서울)
너와 나와 너와 나(2016, 서울)
나의 세계를 만나다(2016, 서울)
가까스로 우리(2016, 서울)
고등어(2016, 서울)
한국인의 초상(2016, 서울)
외계인들(2015, 서울)
아가미(2015, 서울)
날아가버린 새(2015, 서울)
고등어(2015, 서울)
데리러 와줘(2015, 서울)
대한민국 난투극(2015, 서울)
어쩔수가없어(2015, 서울)
어느 계단 이야기(2015, 서울)
허물(2015, 서울)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2015, 서울)
엘렉트라 파티(2014, 서울)
타조소년들(2014, 서울)
너는 똥을 누고 나는 물고기를 누었다(2014, 서울)
유사유감(2014, 서울)
남산에서 길을 잃다(2014, 서울)
안데르센(2014, 서울)
옆에 서다(2014, 서울)
햄스터 살인사건(2014, 서울)
다정도 병인 양하여(2013, 서울)
천국으로 가는 길(2013, 서울)
밤의연극(2013, 서울)
알리바이 연대기(2013, 서울)
사천의 착한 영혼(2013, 서울)
빨간버스(2013, 서울)
푸른배 이야기(2013, 서울)
개천의 용간지(2012, 서울)
더 빡스 무한리필 사춘기 배송서비스 the bbox(2012, 서울)
안녕(2012, 서울)
빨간버스(2012, 서울)
손님(2012, 서울)
본.다(2012, 서울)
다정도 병인 양하여(2012, 서울)
방문(2012, 서울)
꽃과 건달과 피자와 사자(2012, 서울)
새-깃털의 유혹(2012, 서울)
풍선(2012, 서울)
내가 장롱롱메롱문 열었을 때,(2011, 서울)
지하 생활자들(2011, 서울)
상주국수집(2011, 서울)
황혼의 시(2011, 서울)
전하(2011, 서울)
파수꾼(2011, 서울)
흰둥이의 방문(2011, 서울)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팝업 닫기
Go Top